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윤리2

풍성한책방풍성한이야기 : 윤리, 행복, 도덕. . . 행복이라는 말을 사람에게만 쓸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 잘산다는 말로 바꿔도 좋다. 인간의 행복은 일신상의 편안함이 아니다. 도덕적으로 살면서 몸도 편안하다면 더욱 좋겠지만, 그럴 수 없는 상황에서는 도덕적 삶을 선택하는 것이 인간답게 사는 것이고 인간의 행복이다. 우리들의 욕망, 행복, 자아 개념 등은 사회적 관계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우리들의 가치관은 기존의 사회적 규범을 그대로 답습할 우려가 있다. 도덕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다. 우리가 옳다고 여기는 것들 중에는 우리가 속한 사회의 편견에 불과한 것들도 있다. 윤리학 행복은 도덕과 갈등하는가? 편상범 민음인 2022. 12. 7.
풍성한 책방 : 미디어 윤리 이재진 95 커뮤니케이션북스 들어가는 글 미디어 윤리는 한마디로 언론으로서 외적 독립의 근거이고 내적 생존의 결정적 요건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말에는 언론다운 언론의 사회적 역할 뿐만 아니라 언론 자체의 존재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바로 미디어 윤리라는 의미가 담겨 있다. 01 언론윤리강령 언론 조직으로서 사회적 기능과 역할 그리고 의무의 서술적인 약속이자 규범이다. 02 인터넷 언론의 윤리 최근 인터넷 언론의 수가 급증하면서 인터넷 언론의 잘못된 보도 때문에 발생하는 피해에 대한 우려도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우려와 함께 진정한 언론으로서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해 인터넷 언론도 기존의 언론과 유사한 ‘윤리기구’나 ‘윤리강령’이 요구되어왔다. 03 엠바고 저널리즘 영역에서 엠바고란 취재원과 합의를 .. 2022. 2. 2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