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자본주의2

풍성한책방풍성한이야기 : 자본주의 자본주의 자본주의라는 말은 하나의 ‘수수께끼’가 되어버렸다. 20세기 이후 누구나 쓰는 말이면서, 누구나 위험시하는 말이면서, 아무도 정확한 뜻을 모르는 말. 마르크스주의의 입장에서 보면 자본주의의 의미는 명확하다. 생산 수단의 사적 소유에 기초한 경제 체제 및 이를 토대로 성립하는 사회 구성체라는 것이다. 시장경제를 인간 사회의 지고의 가치로 믿는 이들에게 있어서 자본주의란 사실상 자유 시장경제를 말하는 것이며, 그 정의가 전혀 모호하지 않다. 자본주의가 지구적 차원에서 깊이와 넓이를 더해갈 때마다 생산, 화폐, 권력이라는 세 가지는 더욱더 모든 사람들의 삶을 지배하는 결정적인 요소가 되어갔다. 자본주의 홍기빈 비타악티바 책세상 2023. 5. 17.
풍성한책방풍성한책갈피 : 사피엔스8 유발하라리 636 김영사 제4부 과학혁명 15 과학과 제국의 결혼 15~16세기에 유럽인들은 빈 공간이 많은 세계지도를 그리기 시작했다. 이것은 유럽인의 제국주의 욕구뿐 아니라 과학적 사고방식이 발전하기 시작했다는 것을 시사한다. 빈 지도는 심리적, 이데올로기적으로 비약적인 진전이었다. 유럽인들이 자신들이 세계의 많은 부분에 대해 무지하다는 사실을 분명하게 인정했다는 점에서 그랬다. 과학은 제국만이 아니라 다른 제도들의 지원도 받았다. 그리고 유럽 제국의 발흥에는 과학이외의 요인들도 크게 기여했다. 과학과 제국의 일약 성공 뒤에는 특히 중요한 힘 하나가 숨어 있었다. 자본주의다. 만일 돈을 벌려는 사업가들이 없었더라면 콜럼버스는 아메리카에 도달하지 못했을 것이고 제임스 쿡은 호주에 도착하지 못했을 것이며.. 2023. 4. 30.
728x90
반응형